본문 바로가기

Entity

(2)
N:M(다 대 다) 매핑 3: 매핑테이블을 엔티티로 만들기 N:M 관계를 풀어낼 때 두 테이블을 엮기 위해 중간에 매핑테이블을 만들어야 한다. 그런데 이 때 매핑테이블을 @JoinTable과 @ManyToMany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만들면, 개발 도중에 발생하는 상황들에 대해 유연하게 대처하기 힘들어진다. 따라서 돌발상황이 많은 실무에서는 매핑테이블을 엔티티로 승격시키는 것이 좋다. 테이블 구조 Student:Subject는 N:M의 관계를 가지고 있고, 이를 매핑하기 위한 테이블로 StudentSubject를 사용하고 있다. 매핑테이블을 Entity로 사용했을 때의 장점을 살펴보기 위해 StudentSubject에 registrationDate 컬럼을 추가했다. 이번 시간에는 매핑테이블인 StudentSubject를 Entity로 만들어서 사용해볼 것이다! ..
JPA로 CRUD해보기(3) Entity와 CRUD 코드 작성해보기 드디어 CRUD를 직접 해보는 시간이다. 기대되지 않나??? 아니면 말고 ㅋㅋㅋㅋ JPA에는 Entity라는 개념이 존재한다. Entity는 쉽게 테이블 구조를 객체로 변환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Entity가 낯설다면 VO 혹은 DTO같은 역할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더 쉽다. 백문이불여일견, hellojpa 패키지 아래에 Member class를 만들어주자~~~ package hellojpa;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 import javax.persistence.Id; import javax.persistence.Table; @Entity //꼭 넣어야 된다. 이 Entity Annotation이 붙어있어야 JPA가 관리한다. @Table(name = "MEM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