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eric (2) 썸네일형 리스트형 Generic 오늘은 TypeScript에서 Generic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다. Genric은 단일 타입이 아닌 다양한 타입에서 작동하는 function, class, interface를 만들 때 사용된다. 간단히 다음 예시를 살펴보자! function printValGeneric(val: T): T { console.log(val); return val; } const a = printValGeneric('hi'); const a2 = printValGeneric('hi'); 'printValGeneric' 함수는 입력받은 값을 출력 및 반환하는 함수이다. 먼저 문법부터 살펴보면 함수를 선언할 때 'T'라는 타입변수를 로 감싸서 입력받고 있다. 또한 'T' 타입의 인수 'val'을 입력받고 있고, .. TypeScript: Generic TypeScript에는 generic이란 개념이 있다.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별 의미는 없지만 다음과 같이 print라는 함수를 만들었다. print 함수는 parameter로 string을 받고 string을 반환하는 함수이다!!!! 그런데 number를 print함수로 찍어보고싶다면 가능할까? 당연히 불가능할 것이다. function print(content: string): string { console.log(content) return content } 이럴 때 generic을 써보자~~~ 처음 봤다면 낯설 수도 있겠지만, 까보면 별 거 없다. 사이에 온 문자 T는 함수가 호출되기 전까지 무엇인지 모르는 미지의 타입이 된다. 즉, 이 함수는 미지의 타입 T를 매개변수로 받아서 T타입을.. 이전 1 다음